결론
- const는 배열/객체에도 기본으로 사용 (재할당 막기 위해)
- 점 표기법 / 대괄호 표기법 구분할 것
- for문은*3단 구성(초기값; 조건식; 증감식)으로 사용
- 배열 반복은 length 사용해서 동적 처리하는 게 안정적
● 변수 선언
const : 절대 값이 변하지 않을 변수 (상수)
let :값이 나중에 바뀌는 변수
❌ 실수했던 부분:
const myNumber; ← 이렇게 값 없이 선언 X
const는 선언과 동시에 값이 들어가야 함.
✅ 올바른 예시:
const myNumber = 10;
let myCount = 5;
myCount = 10; // let은 값 변경 가능
● 배열, 리터럴객체
const로 하는 게 일반적
이유: 배열→ 배열 자체를 바꾸지 않으면 괜찮음
배열→ 배열 안의 값은 추가/삭제/수정 가능하기 때문
객체→ 객체 자체를 재할당하지 않고, 객체 안 값만 수정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
❗ 중요 포인트:
영문 키는 점 표기법 사용
문자열 키(한글 포함)는 대괄호 표기법 사용
✅ 두 가지 올바른 방법
// 방법 1 (추천)
const person = { name: "철수", age: 25 };
console.log(person.name);
// 방법 2 (한글 키 사용할 때)
const person2 = { "이름": "철수", "나이": 25 };
console.log(person2["이름"]);
⭐ 참고: 동적으로 쓰고 싶다면 (배열 길이를 하드코딩하지 않고)
→ 실무에서는 배열 크기가 유동적이므로 이렇게 쓰는 게 더 안전:
for (let a = 0; a < fruits.length; a++) {
console.log(fruits[a]);
}
'Code🦜 > HTML,CSS,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S- 함수형 컴포넌트 + 리터럴 객체 (1) | 2025.07.18 |
---|---|
JS-다른 언어들과 헷갈리는 지점 ... 객체?! (2) | 2025.07.18 |
폰트 렌더링이 되고 있지 않은 상태 -해결 (0) | 2025.04.15 |
CSS-Flexbox 정리 (0) | 2025.03.30 |
인접 형제 선택자 (0) | 2025.03.17 |